본문 바로가기

AWS

(11)
EC2 Ubuntu 인스턴스를 꺼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이게 하는 방법 서버 배포를 하다보면 나의 경우는 앞으로 취업을 위해서 면접을 보러 나갈때 항상 ec2서버를 켜놓고 다녀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기 마련일 것이다. 물론 본인이 귀찮지 않다면 수시로 aws에 접속해서 ec2에 들어가 jar파일을 항상 실행시키면 되겠지만, 만약 ec2 콘솔이 꺼지면 자동으로 꺼지는 jar파일을 어떤식으로 유지를 해야할까 이런 고민을 해보았다. 그런 것을 흔히 백그라운드라고 하는데 스마트 폰으로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카카오톡을 예시로 들어서 이야기를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가 카카오톡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강제로 종료를 한다고 할지라도 새로운 메세지가 도착하게 된다면 팝업이 자동으로 울리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그 뜻은 이미 애초에 우리가 사용을 하고 있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에서..
AWS EC2 HTTPS 설정 방법 많은 글들을 보았을때 대부분 설명되는 내용은 거진 Certificate Manager과 Route 53을 활용해 진행하는 것이다. Certificate Manager의 경우를 살펴보면 HTTPS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SSL 인증서가 필요한 시점이다. 물론 SSL 구글 검색을 통해 인증서를 발급받기 쉽게 설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만약 내가 저것을 발급받았다고 치면 어떻게 어디다 집어넣어서 준비를 해야하는 것일까? 라는 의문점이 들게 되었다. 아직 초보자인 상황이고 리눅스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스스로 공부하고 개척을 하고 있는 상황인 상태다. 그러다 우연히 찾아본 것은 내가 도메인을 발급받았던 곳에서 인증서 발급을 해주는 것이 있었다. https://xn--220b31d95hq8o.xn--3e0..
무료 도메인 받아서 EC2 연결 방법 아마 여기서는 딱히 EC2연결 내용은 그닥 없고 https://widm2240.tistory.com/24 AWS EC2 8080포트 80으로 연결하는 방법 서버를 관리하다보니 욕심은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다보니 스프링부트에서 돌아가는 8080포트에 대해서 80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다가 이번에 3일정도 걸려서 정보를 찾은 후 해결을 widm2240.tistory.com 이곳에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해주면 되는데 하지만 최종적으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해서 준비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나의 경우는 며칠이 지나도록 무료 도메인 가입을 하려고 했으나 공개된 많은 자료들에서는 무료보다는 저렴한 것 혹은 https://www.freenom.com/en/index.html?lang=en Freen..
AWS EC2 8080포트 80으로 연결하는 방법 서버를 관리하다보니 욕심은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다보니 스프링부트에서 돌아가는 8080포트에 대해서 80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다가 이번에 3일정도 걸려서 정보를 찾은 후 해결을 하게 되었다. 우선 AWS EC2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VPC에서 먼저 포트를 열어두는게 좋다. (기본적으로 80포트를 열어둔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EC2에서는 따로 설정을 잡아주는게 좋은 것 같다. 아마도 VPC의 경우는 보안상의 이유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라 생각이 든다.) 먼저 나의 인스턴스와 연결되어있는 VPC에서 인바운드 규칙에서 인바운드 규칙 편집에서 80포트를 설정해줘야 한다. 규칙추가 후 사용자 지정 TCP > 포트범위에 80을 입력하여 추가를 해준다. 이제 포트가 열려있다면 EC2에서 리눅스로 연결을 한다..
AWS EC2 배포할때 .jar 파일 만들기 (html 파일의 /layout 주의하기) 다양한 방법들이 있겠지만, 나는 .jar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추천해주고 있다. 남들이 건들지 않을 파일 형식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두번째는 안정성이 높다는 점과 세번째는 해보니까 다른 방법은 안되더라.... 추가로 배포하기 전에 알아둬야할 것이 localhost로 배포를 할때는 잘 되지만 서버에서 돌릴때 EC2의 경우는 리눅스 기반이라서 코드를 못읽는? 아니 리눅스에서 되는 코드가 있다고 하더라 그 부분까지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인터넷 검색시 "
AWS VPC 설정하기 전문가적인 내용으로 적은 것은 아니고 도전은 해보질 않았지만, 이전에 전체포트로만 했을때 MySQL이 접속 안되었던 적이 있어서 그 이후부터 애초에 포트를 설정해주고 진행을 하고 있다. EC2에서 좌측 메뉴에 보안그룹이 있다. 현재 런닝중인 인스턴스의 VPC에 접속하도록 한다. RDS에서는 인바운드 규칙을 찾기가 쉬웠지만 인스턴스 상황에서는 알아보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제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들어가겠다. 현재 나의 인스턴스의 VPC이고 포트 범위를 설정한 것인데 회식의 경우는 암묵적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포트라고 생각해주면 된다. SSH : 22 MySQL : 3306 HTTP : 80 localhost : 8080 규칙을 저장하고 사이트 접속을 해주면 되는데 해당 방법..
AWS EC2 파일 업로드 방법 FileZilla 사용하기 내가 이제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배포할 준비단계로 AWS의 EC2를 이요할 사람이라면 자신이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멈춰! 솔직하게 돈이 빠져나가는지는 모르겠지만 주체없이 돈이 표시되고 있다.... 나의 경우도 다른 방법을 한번 찾아보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내가 공부한 것이니 한번은 적어두고 써먹어야지 않겠는가? 우선 배포를 하기 위해서는 준비된 파일 즉 나는 gradle이기도 하고 자바스프링부트인데 배포를 하고자 한다면 jar로 만들어 놔야 한다. jar만드는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고 FileZilla를 이용하는 이유는 간편하기도 하고 우리가 흔히 아는 윈도우에 파일 넣기 이런게 아닌 EC2는 ubuntu 즉, Linux 환경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파일 설치는 이곳에서 한다. https:..
AWS EC2 인스턴스 생성시 탄력적IP 사용 이유는? 현재 나의 주소지와 탄력적IP등을 모두 공개한 상황이다. 탄력적 IP 즉 고정IP라고 생각을 해주는게 편한 것 같은데 실제 명칭이 맞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아무튼! 탄력적 IP를 생성해야하는 이유는 우선 이스턴스를 생성하게 된다면 퍼블릭 IPv4와 DNS를 부여받게 된다. 처음 생성을 하게 되면 '아 이게 내 아이피겠지?' 하고 생각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생성시에 나오는 주소지는 맞지만 만일 모종의 사건(?)을 이유로 인스턴스를 재생성하거나 재부팅을 하게 되면 저 아이피가 변경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재부팅을 하게 된다면 변경이 된 아이피 주소로 인해서 사이트 접속시 매번 변경된 주소를 기억하고 입력을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변경하지 말라는 의미로..
AWS EC2에서 프로젝트(스프링부트) 배포하는 방법 (ubuntu java 17설치)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jar파일이 완성된 상황에서 하는게 편할 것이라고 이야기를 해주고 싶다. 이유는 vscode로 연결해서 바로 해줘야지 하고 했으나 제대로 안되었기 때문에 실패를 거듭하고 작성하는 글이기 때문이다. 우선은 EC2 서버에 배정받은 컴퓨팅은 말그대로 깨끗한 컴퓨터라고 보면 된다. 생성되어 있는 인스턴트를 연결클릭 후 아래의 이미지가 나와야 한다. 위의 사진 처럼 연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Ubuntu 즉 리눅스로 넘어가게 된다. 아래에 작성된 코드를 처음 시작한다면 순서대로 입력하길 바란다. $ sudo apt-get update 해당 코드를 입력하는 이유는 현재의 새 컴퓨팅에 설치된 파일들을 업데이트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하는 것 같다. 한마디로 exe 파일을 업데이트 ..
AWS의 EC2에서 Visual Studio Code 연결방법(SSH)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주의 : EC2라서 그런지 몰라도 금전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니 주의를 하도록 하자. 그 중에 하나가 Visual Studio Code(앞으로는 vscode로 적도록 하겠다.) 나의 경우 vscode를 연결했던 목적 중 하나는 github형식 처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대해 사용을 하게 되었던 것인데 파일을 업로드 한다는 명목하에 사용한다던가 코드만 입력을 하고 저장공간으로 둔다면 괜찮겠지만,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으므로 배포를 목적으로 두는 사람이라면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배포의 경우는 jar파일로 배포하는 것을 추천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으로 적어보려고 한다. 우선 본인들이 EC2로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