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분이 가장 나에게 필요한 부분이지 않을까 싶다.
따라하는 것이야 당연하겠지만, 나는 문과생이므로 솔직하게 왜 이 패키지에서만 적용을 하지? 이런 부분이 굉장히 의문스러운 점이 많았다. 물론 쓸데없는 것이고 그냥 만들줄만 안다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나의 경우는 왜? 라는 질문을 많이 던지는 스타일이기 때문이다. 강의의 내용들은 대부분 '이거니까 이거야'라는 느낌이 많았는데 오늘 공부한 부분에서는 의문점 해결이 되어가는 부분이라고 생각이 든다.
src/main/java 디렉터리
com.mysite.sbb 패키지는 자바 파일을 작성하는 공간.
자바 파일로는 HelloController와 같은 스프링부트의 컨트롤러, 폼과 DTO,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위한 엔티티, 서비스 파일이 있다.
src/main/java/com/mysite/sbb/SbbApplication.java 파일
<프로젝트명>+Application.java 파일은 해당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자동으로 생성이된다.
src/main/resources 디렉터리
자바 파일을 제외한 HTML, CSS, Javascript, 환경파일 등을 작성하는 공간 [그림 1-3]
src/main/resources/templates 디렉터리
템플릿 파일은 HTML 파일 형태로 자바 객체와 연동되는 파일. 해당 디렉터리에는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SBB의 질문 목록, 질문상세 등의 HTML파일을 저장한다. [그림 1-3]
src/main/resources/static 디렉터리
스타일시트(.css), 자바스크립트(.js) 그리고 이미지 파일(.jpg, .png) 등을 저장한다. [그림 1-3]
src/main/resources/application.properties 파일
SBB 프로젝트의 환경을 설정. 환경, 데이터베이스 등의 설정을 이 파일에 저장한다. [그림 1-3]
src/test/java 디렉터리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파일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코드 작성공간이다. JUnit과 스프링부트의 테스팅 도구를 사용하여 서버를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src/main/java 디렉터리에 작성한 코드를 테스트할 수 있다. (솔직히 써먹을지는 잘 모르겠다.)
build.gradle 파일
그레이들이 사용하는 파일. 포스팅 1-3 과 1-4에서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설치한 공간이다. 물론 다른 과정도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이정도만 알면 될듯 하다.
1-4 스프링부트도구2
1-3 에서 롬복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새롭게 STS를 설치 후 1-3까지 처리를 하였다. 롬복이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할 순서다. 우선 HelloLombok 클래스를 작성하여 롬복 동작 여부를 확인해본다.
widm2240.tistory.com
'스프링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JPA (0) | 2022.12.15 |
---|---|
2-2 컨트롤러 (0) | 2022.12.15 |
1-4 스프링부트도구2 (0) | 2022.12.14 |
1-3 스프링부트 도구 (0) | 2022.12.14 |
1-2 스프링부트 처음 시작하기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