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배포는 안하는게 좋습니다! 아니 하지 마세요
나는 무려 5년전 Synology NAS 제일 저렴이로 구매를 한 적이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회사에서 화룡한 데이터들을 집에서 일을 할때 혹은 나의 직원들이 써먹을 수도 있게 하기 위해서 했으나 당시에는 내가 직접 포트포워딩을 하거나 하지는 않았었다. 왜냐?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포트포워딩이라는 것에 대해 포스팅을 아마 해보긴 해야할 것 같지만 아무튼 현재 되어 있는 상황에서 구성을 해보자면 나의 나스에 대해서 외부IP도 알아야하고 내부 IP도 알아야한다.
현재 글을 쓰는 시점은 2023.01 인데 새로운 버전이 나오면 변경이 될지도 모르니 주의를 해주길 바란다.
우선 나스에서 제어판에 접속 후 터미널을 선택해 들어가준다.
참고로 나의 경우는 초보자기 때문에 터미널이라고 하면 바로 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 putty를 이용하라는데 너무 올드한방식인것 같아서 그냥 편하게 powershell을 사용해주었다.
powershell을 모르겠다면 시작버튼에서 검색을 하면 나온다.
우선 ssh 서비스 활성화를 해야하는데 대부분 ssh는 22로 되어 있을 것이다. 나는 혹시 몰라서 2233으로 수정을 해주었다.
해당 주소를 알게 되었다면, 나의 나스 ip 주소를 찾아봐야한다. 좌측 네트워크를 클릭하면
기본게이트 웨이가 나의 나스 주소라고 생각하면 되고 실제로 접속 경로는 집에서 접속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나와있는 주소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해당 192.xxx.xxx.x 로 된 주소는 집에서 접속할때의 주소 즉 내부IP이며 외부 IP는 아니다.
이제 각자만의 공유기 주소로 접속을 해본다. 나는 LGU+였는데 그곳에서 나의 외부 IP정보와 DNS서버 등이 나온다.
참고로 공유기는 고정 IP로 안되기 때문에 고정IP설정을 해주는게 좋다고 본다 왜냐하면 외부에서 접속시 외부IP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진이 없는 이유는 학원에서 작성하는 것도 있지만, 외부에 노출을 하면 안되는 주소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로그인을 해서 들어가면 네트워크 설정에서 NAT설정에 들어간 후 포트포워딩이 나온다.
완전 본인히 초자라고 한다면 나의 글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을테고 고수들이 봐도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포트포워딩에서 추가를 해주는데
서비스포트(포트선택) / 프로토콜 / 내부 IP 주소 / 내부포트 이렇게 있는데
서비스포트의 역할은 외부 아이피 접속자가 써야할 포트번호라고 보면 된다.
포로토콜은 그냥 TCP로하면 나중에 알아서 바뀌는 구조 같고, 내부 IP주소는 우리가 알고 있는 내부IP주소를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내부포트는 2233으로 했기 때문에 2233으로 입력을 해주면 된다.
상식상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 내부IP:2233으로 들어가고 싶은데 외부에서 접속을 하고자 한다면, 서비스포트에 2233이 아닌 3333을 입력하면 나중에 외부IP:3333을 입력하면 내부IP:2233으로 접속을 하게 된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완성이 되어서 추가를 하고 저장을 하면 공유기가 업데이트를 하면서 이제 제대로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이미지는 학원에서의 Powershell 모습이다. 나의 외부 ip와 포트를 입력으로 접속을 하고자 한다면
ssh -p 서비스포트 nas아이디@외부아이피주소
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나오면 입력해주고 넘어가주면 끝
물론 내가 ssh를 했었던 이유는 스프링부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라는 점이 가장 큰데...
안하는게 좋다. 이유는 우선 데이터저장소의 역할이지 스프링부트의 application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cpu도 낮고 램도 낮아 죽겠는데 왜 하냐고 주변에서 뭐라해서 포기를 하려고 했으나 그래도 나는 서버에 관심이 생겼기 때문에 도전을 해보았다. 대부분 Docker로 하라고 했는데 이게 안되서 powershell을 한 것이다.
그리고 filezilla 할 필요가 없다. 이유는 위의 코드를 입력해서 명령어 접속하면 nas는 리눅스로 되어 있는데
ls를 입력하면 다양한 디렉터리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volum1이 내가 평소 사용하는 nas저장소들이 나온다.
그곳에서는 원래 filezilla를 통해서 해야하지만 그렇지 않고 nas자체에서 파일들을 넣고 빼면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나스에 자바 17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다.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 에 자바 17 설치하는 방법 (0) | 2023.01.19 |
---|